헷갈리는 영어

‘Hardly’와 ‘Barely’ 차이 정리 – 헷갈리는 영어 표현 끝내기

ezengtips 2025. 5. 7. 13:00

Hardly vs. Barely – 정말 비슷하지만 뉘앙스는 다르다!

“Hardly”와 “Barely”.
둘 다 “거의 ~하지 않다”는 의미인데, 정말 똑같이 써도 되는 걸까요?

🙋‍♀️ 예를 들어,

I could hardly hear him.
I could barely hear him.

두 문장은 비슷하게 들리지만,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어요.
오늘은 영어 학습자들이 자주 헷갈리는 이 두 표현의 차이점, 쓰임새, 예문을 정리해볼게요!


🧠 기본 뜻 먼저 짚고 가요!

표현기본 뜻특징
Hardly 거의 ~하지 않다 ‘불가능에 가까운’ 느낌. 강한 부정의 뉘앙스를 줌
Barely 간신히, 겨우 ‘아슬아슬하게 가능했던’ 느낌. 긍정이긴 하지만 한계에 가까움
 

✅ 둘 다 부정어이지만, Hardly는 거의 불가능, Barely는 간신히 가능에 초점이 있어요.


📚 예문으로 비교해보기

✅ 1. 소리 듣기 (청각 상황)

  • I could hardly hear her voice.
    → 거의 들리지 않았음.
    (소음 때문에 들은 게 거의 없다는 느낌)
  • I could barely hear her voice.
    → 아주 작게, 겨우 들렸음.
    (아슬아슬하게 들었지만 들리긴 했다는 의미)


✅ 2. 시간 개념

  • He hardly had time to eat.
    → 먹을 시간이 거의 없었음.
    (거의 전혀 시간이 없었다는 부정의 강조)
  • He barely had time to eat.
    → 먹을 시간이 거의 없었지만, 아주 조금은 있었다는 뉘앙스

✅ 3. 감정 표현에서도 미묘한 차이

  • She could hardly contain her anger.
    → 분노를 거의 못 참았음 (거의 폭발 직전)
  • She could barely contain her anger.
    → 분노를 겨우 억누르고 있음 (아슬아슬한 감정 조절)

🧐 원어민은 언제 어떤 걸 쓸까?

  • Hardly는 "이건 거의 안 됐어!"라고 강하게 부정하고 싶을 때
  • Barely는 "됐긴 됐는데 정말 간신히…"처럼 아슬아슬한 긍정을 담고 싶을 때

🔎 이 차이만 이해해도 문장에 따라 훨씬 정확한 표현이 가능해져요.


🧩 비슷하지만 다른 또 다른 예시들

  • Hardly slept / Barely slept
    → 둘 다 거의 못 잤다는 뜻이지만,
    👉 Hardly: 아예 못 잤음에 가까움
    👉 Barely: 정말 간신히 눈 붙였다는 느낌
  • Hardly knew him / Barely knew him
    → Hardly: 거의 모름 (기억조차 안 남)
    → Barely: 이름만 아는 정도 (얕은 인연)

✏️ 마무리 정리

구분HardlyBarely
뉘앙스 강한 부정 아슬아슬한 긍정
예시 I could hardly breathe. I could barely breathe.
해석 거의 숨을 못 쉬었다 간신히 숨을 쉬었다
 

📢 오늘 표현, 이렇게 기억하세요!

👉 Hardly: "아예 안 됐어!"
👉 Barely: "됐긴 됐는데 정말 간신히…"

이제 두 표현을 볼 때마다 머릿속에 그림이 딱 떠오르실 거예요!
여러분은 이 두 표현, 어떻게 쓰고 계셨나요? 댓글로 알려주세요! 😄

반응형